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비대면 환경 속 다양하게 활용되는 IoT 기반 서비스 로봇

디지털콘텐츠/이슈리포트

by 디지털콘텐츠기업 성장지원센터 2021. 9. 15. 14:23

본문

최근 코로나19 확산으로 사회 전반에 걸쳐 비대면 활동이 많아지면서, 다양한 분야별 업계 내 서비스 로봇에 대한 수요 및 활용도가 증가하고 있다.

 

< 출처 : adobe stock, https://stock.adobe.com/kr/search?k=robot&search_type=usertyped >

 

서비스 로봇(service robot)이란?

 

우리 생활에서 가장 흔하게 접할 수 있는 로봇으로는 로봇 청소기가 있다. 로봇 청소기는 스스로 사물 인식 후 상황을 판단하는 지능형 로봇의 한 형태이며, 청소 작업을 자율적으로 수행하는 가정용 서비스 로봇이다.

 

서비스 로봇이란 산업 분야 내 한정돼 사용되던 로봇을 가정, 의료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하여 활용하는 것이다. 서비스 로봇은 크게 '개인서비스' 로봇과 '전문서비스' 로봇으로 나뉜다.

'개인서비스' 로봇은 일반인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로봇으로 청소, 오락, 간병, 교육 등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전문서비스' 로봇은 의료, 국방, 건설, 경찰 분야 등 전문적 분야에서 보조 역할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로봇이다.

 

< 출처 : adobe stock, https://stock.adobe.com/kr/search?k=robot&search_type=usertyped >

 

비대면 삶 속, 서비스 로봇 사례

 

코로나 확산으로 '비대면'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면서 분야별 로봇 활용이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국내외 지능형 IoT 서비스 로봇의 개발 및 활용 방법이 더욱 다양해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국내외 지능형 IoT 서비스 로봇 활용 사례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첫번째로 '방역 로봇'이 있다. 방역 로봇은 비대면 서비스에 최적화되어 있으며, 의료진이 담당하는 감염 위험도 높은 업무를 로봇이 대신함으로써 대규모 전염병 사태 발생 시 병원체 노출 최소화를 통해 감염병 확산 방지가 가능하다. 장기간 진행 중인 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 및 확산이 이루어지고 있다. 소독 및 살균, 발열감지, 검체 채취, 의료용품 및 폐기물 운송 등 활동에 주로 활용되며, 기존 로봇 역할에 방역기능을 추가한 멀티형 로봇으로 상용화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의료진의 바이러스 노출 위험성이 감소되고, 개인 보호구 공급 부족 상황을 타개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 한 병원은 방역로봇 '비누'를 도입하여 활용하고 있다. 이 서비스 로봇은 5G 네트워크 및 실시간 위치 추적시스템을 활용한 방역로봇으로, 병원 방문객 얼굴을 AI로 식별하여 체온 측정 및 마스크 착용 유무를 판별한다. , 병원 내 일정 수 이상의 방문객이 모여있을 경우 음성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방침을 안내하고, 공간 소독 방역을 수행한다.

 

< 출처 : 용인세브란스병원의 5G 방역로봇 '비누' - “용인세브란스병원, 5G 방역로봇 '비누' 도입”, <메디칼업저버>, 2021.04.19. >

 

두번째로 '안내 로봇'이 있다. 그동안 안내 로봇은 기업 입장에서 인건비 감소라는 장점 때문에 주목받았으나, 기기 오작동, 개발비용 등으로 확산이 더디었다. 그러나, 최근 코로나19로 비대면 수요가 증가하면서 다시 개발 및 공급이 확산될 전망이다. 시설이용방법과 같은 기본정보 안내 외에도 주문·예약·결제 및 재고 관리 등 여러 업무의 동시처리가 가능하고, 청소·경비 업무를 겸하는 멀티형 로봇으로 진화하고 있다.

 

일본의 안내로봇 ‘Relay’는 쉐라톤, 하얏트 등 호텔에서 활용되고 있다. IoT 기반 로봇 Relay는 디지털화된 엘리베이터를 이용해 층간 이동을 하며 실내 물류 배송 자율주행이 가능하다. 카메라, 초음파센서, 레이더, GPS, 자기장 센서 및 라이다(LiDAR) 등이 주요 기술로 적용되었다.

 

이 밖에도 국내·외에는 돌봄 로봇, 배달 로봇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지능형 IoT 서비스 로봇들이 있다.

 

한편, 디지털콘텐츠기업 성장지원센터 입주기업 '로봇앤모어'는 로봇 관련 소프트웨어, 센서 및 기구 분야의 전문 지식을 기반으로 AI 로봇교육용 콘텐츠 및 로봇 경진대회 플랫폼, ISO 국제 표준 기반 로봇평가 시스템 운용 장비 등을 개발하고 있다.

또한, 재활 및 운동치료에 활용 가능한 무선 근전도 센서 모듈 및 훈련 프로그램 'Smart EMG'와 움직임에 따른 관절 각도의 기능적 측정을 위한 디바이스·프로그램 'PhiMo - Full Motion Sensor' 등 콘텐츠 개발을 통해 일반적인 로봇기술 기반 서비스를 넘어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분야로도 비즈니스 영역을 확대 중이다.

 

< 출처 : 사비오케 자율주행 로봇 Relay - 사비오케 홈페이지, https://www.savioke.com >

 

서비스 로봇 시장 전망 및 고려해야 할 점

 

서비스 로봇은 IoT 기반으로 더욱 정확하고 민첩하게 혁신 진화할 전망이다.

오늘날 로봇 산업은 방대한 데이터를 정밀하게 가공해 활용하기 위하여 인공지능, 클라우드, 5G 등 기술들의 융합으로 점점 고도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로봇 기술 보유 전문기업 외에도 아마존, 구글, 알리바바 등과 같은 글로벌 IT기업 및 스타트업의 로봇 산업 진출이 활발해지고 있다. 다양한 기업의 적극적 시장 진출 및 국내외 시장 수요 확대를 통하여 로봇 기술력은 지속적으로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 출처 : adobe stock, https://stock.adobe.com/kr/search?k=robot&search_type=usertyped >

 

이에 따라 정부는 국내 지능형 IoT 기반 서비스 로봇 시장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지원 체계 마련 중에 있다. 의료, 노인복지, 인력문제 등 여러 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으로 서비스 로봇에 주목하고 있으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전염병 대유행 대응 로봇·ICT융합 생활방역 솔루션 개발사업 추진을 통해 코로나19 해결 방안 중 하나로 의료 서비스 융합 로봇을 제안하기도 했다.

 

법과 제도 측면에서 로봇은 도구산업과 융합을 특성으로 하기 때문에 통합된 일괄 기준으로 규제하는 것이 어렵다. 때문에 생태계 조성을 위하여 목적 및 서비스 영역에 따른 맞춤형 규제를 마련해야할 것이다. 또한, 기업들 역시 핵심 부품 및 소재 기술을 확보하고, 표준·인증 지원 민관 협력 체계를 구성하는 등 건강한 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해 노력해야한다.

 

마지막으로, 청년층 취업이 힘든 상황 속에서 서비스 로봇의 일자리 대체로 인한 취업률 감소가 우려되므로 이에 대한 정부의 확실한 일자리 창출 계획과 정책도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출처]

- 네이버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968169&cid=43667&categoryId=43667 

- "사물인터넷, AI 만나 더 똑똑해진다", <공학저널>, 2019.08.16.

- <로봇산업 발전방안>, 산업통산자원부, 2019.03.

- "‘4대 서비스 로봇 정책 및 육성 방향’", <로봇신문>, 2020.10.29.

- 한국로봇산업진흥원 홈페이지, https://www.kiria.org/portal/bizsupt/portalBsuptRoCreIntro.do

- "지능형 IoT 기반 서비스 로봇 활용사례와 시사점",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이슈리포트(2020-05호)>, https://nipa.kr/main/selectBbsNttView.do?key=116&bbsNo=11&nttNo=7594&bbsTy=&searchCtgry=&pageUnit=10&searchCnd=all&searchKrwd=&pageIndex=1, 2020.07.29.

- 용인세브란스병원, 5G 방역로봇 '비누' 도입”, <메디칼업저버>, 2021.04.19.

- "로봇앤모어 전상원 대표, "로봇은 사람을 돕는 매개체입니다"", <동아닷컴>, 2020.07.30.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