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력 시스템 개념을 기반으로 구축된 '안면 인식 시스템'은 주어진 이미지를 AI가 데이터베이스 내 저장된 이미지와 대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시스템은 국경 통제와 물리 보안 시스템 등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군중 속 특정 얼굴을 인식하는 안면 인식 시스템을 비협력 시스템(Non-Cooperative System)이라 한다. 다양한 밝기와 각도로 주어진 상황 속에서 스카프, 모자 등을 착용하거나 움직임이 있어도 사람들을 인식할 수 있다.
안면 인식 시스템은 저주파 질감(Low-frequency textures)을 통해 얼굴의 통계 모델을 구성한다. 피부의 점, 속눈썹, 주름 등과 같은 고주파 특징을 이용하는 시스템도 있지만, 이러한 경우 매우 높은 품질의 이미지가 요구된다는 단점이 있다. 사람들이 움직이게 되면 이미지가 흐릿하게 나오고, 각도도 변하기 때문에 고주파 정보보다는 저주파 정보가 더 적합하다.
최근 안면 인식, 지문 인식 등과 같은 생체 인식이 결제 시스템에 도입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는 편의성과 사기 방지성을 가지고 있다. 안면 인식과 같은 생체 지표(Biometric Marker)는 이중 팩터 인증 시스템으로 구축되었기 때문이다. 안면 인식 시스템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 분야는 보안·감시 분야로, 공항이나 카지노, 경기장 등에서 주로 사용된다. 이 시스템 활용으로 출입자를 통제하기도 하고, 범죄자를 체포하기도 하는 등 공공 안전 분야에서 쓰이고 있다.
이에 대한 예시로, 2016년 마스터카드는 ‘셀피 페이(Selfie Pay)’ 앱을 출시했다. 이 앱은 셀카를 찍어 보내면 온라인 결제가 진행되는 방식이다.
애플의 '페이스 ID'는 휴대폰 잠금장치 해제 시 암호입력을 직접하지 않고, 얼굴 인식 시스템을 통한 인증 방법으로 잠금해제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 기술은 Dot projector에서 이용자 얼굴에 보이지 않는 적외선 점들을 쏜 후 적외선 카메라로 이용자 얼굴 3D map을 생성하고 등록하여 얼굴을 인식한다. 마스크를 써도 여러 시도 끝에 사용자의 얼굴을 학습하게 된다.
얼굴 인식 시스템은 공항에서도 매우 많은 도움을 준다. 출입국 심사 분야에서 신원 확인용으로 얼굴 인식 시스템이 활용되며 무인 출입 심사를 할 수 있다.
안면 인식 시스템은 카메라를 활용하는 기술이기 때문에 어느 공간이든 설치하여 사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이것이 사생활 침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단점도 있다. 개인의 생체 지표, 생활 및 정보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어, 안면 인식 시스템 활용 기업은 개인 데이터를 안전하게 관리하고 사용자에게 명시한 목적으로만 사용해야 한다.
현재 개발된 편재형 보안 카메라(Pervasive Security Cameras)는 광대역 통신망을 통해 방대한 클라우드 컴퓨팅 리소스와 연결되어 있다. 이 카메라에 안면 인식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기술이 개발되어 구축된다면, 지금보다 수많은 군중을 향한 얼굴 인식은 시간문제일 것이다. 이처럼 안면 인식 기술은 이미 확산 단계에 접어들었다. 이 기술을 받아들여야 하는 상황에서 우리는 적절한 관련 법규 마련으로 우려되는 상황들을 최소화하여 안면 인식 시스템 기술 발전을 맞이하여야 한다.
[출처]
- “인공지능과 AI를 활용한 안면 인식기술”, <SAS Blog Insight>, https://www.sas.com/ko_kr/solutions/ai-mic/blog/face-recognition-technology.htm
- “얼굴만 보면 알 수 있다! 얼굴 인식 기술, 어디까지 가능한가?”, <삼성디스플레이 뉴스룸>, https://news.samsungdisplay.com/17867/, 2019.01.28.
다가오는 디지털신분증, DID 기술이 뭐야? (0) | 2021.05.17 |
---|---|
푸드 커머스 플랫폼에서 활용되는 AI 챗봇 (0) | 2021.05.12 |
이커머스 속 블랙컨슈머 잡아내는 인공지능 기술 (0) | 2021.05.04 |
할리우드 게 섰거라! 나날이 발전해 가는 한국 VFX 기술 (0) | 2021.04.30 |
ICT 기반 지능형 과학실의 출범! (0) | 2021.04.29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