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살고 있는 공동주택, 그 중에서도 아파트의 전력관리가 보다 스마트해지고 있다는 것을 알고 계시나요? 과거에 원반형 기계식 계량기에서 이제는 디지털 전력량계로 교체되면서 단순한 전력량계 교체가 아니라, 이제 내가 사용하는 전력량을 확인하고 비교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된다면, 전기를 사용한다는 것은 단순히 전기세를 내는 개념이 아니라 추후에는 전력 사용 방식에 따라 비용을 절감하는 자산적인 관점에서 볼 수 있는 시대가 도래할 겁니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바로 AMI라는 시스템 때문입니다.
AMI란,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의 약자로 양방향 통신망을 이용하여 전력사용량, 시간대별 요금을 실시간으로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지능형전력계량스템의 약자입니다. 사람들이 에너지를 쓰는 방식을 검침하는 종류는 크게 전기, 수도, 가스, 난방, 온수, 5종으로 이루어져 이를 5종 검침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이 모든 것이 향후에는 AMI시스템으로 도입될 예정인데, 전기의 경우 계량기가 아파트 밖에 설치되어있어 구형시스템을 개인사생활 침해없이 AMI로 교체하기 편리합니다.
기존의 전력량계를 교체하는 것은 단순한 교체를 넘어, 전력량을 데이터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의미입니다. 현재 정부에서 진행하는 ‘가정용 스마트 전력 플랫폼’사업은 AMI시스템 구축을 통해 구축 아파트의 기계식 수기검침(직접 인력이 검침하는 것)을 디지털 계량기로 교체합니다. 설치 완료된 세대들은 전력량계가 15분 단위로 전력사용량을 기록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기존 기계식 전력량계는 누적 사용량이 나왔다면 이젠 디지털전력량계 내부에 전력사용량이 저장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것은 단순한 저장을 넘어 전기를 직접 사용하는 아파트 단지 내 세대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직접 사용량을 확인하고 데이터 분석도 가능해지는 것입니다.
실제 이러한 AMI시스템이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현장취재를 가본 결과 서울 수도권, 부산지역 등 전국적으로 정부지원사업을 통해 AMI구축이 진행되고 있었습니다.
시스템 구축이 될 경우 추후 관리사무소에서는 해당 단지의 전력사용량에 대한 통합조회가 가능해지고, 소비자는 개별조회를 함으로서 겨울이나 여름처럼 전기사용량이 높아지는 계절에 전력사용량 조절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AMI시스템을 구축하면 어떤 효과가 있을까요? 총 4가지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첫번째 전기요금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누진세 도달시점을 미리 알리고 실시간 전기사용량에 대해 파악할 수 있어 자연스럽게 전력절감을 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두번째로 계시별(계절/시간대별) 요금제 선택 사용이 가능해집니다. 이는 누진세와 달리 전기사용량에 관계없이 계절별, 시간대별 단일요금이 적용되기 때문에 전기사용이 많은 계절과 시간에는 비싼 요금으로, 전기사용이 적은 계절과 시간에는 저렴한 요금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세번째로는 국민DR(Demand Response)이라는 사업을 통해 전력사용량이 높은 기간에스스로 전력량을 줄이면 아껴진 전기만큼 금전이나 상품권으로 보상받는 전국민 에너지 절약제도에 참여할 수 있다고 합니다.
마지막으로 전기사용량, 전기 요금정보, 이웃간 전력사용량 비교, 전력사용패턴 분석 및 컨설팅에 대한 효율적 전기사용방안 등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전력데이터를 자산화할 수 있습니다.
이렇듯 과거와는 달리 이제 더 이상 관리사무소에서 전력사용량을 인력으로 검침하던시대는 서서히 지나가고, 누구나 자신의 사용량 전력에 접근하는 시대에 접어들고 있습니다. AMI는 전기사용량에서 시작하지만 미래에는 전기뿐만이 아닌 다른 에너지원도 효율적으로 스마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반이 될것입니다.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수술로봇 알아보기 (2) | 2022.04.29 |
---|---|
[메타버스 뛰어들기①] 메타버스 플랫폼 게더타운 접근하기 (0) | 2022.04.29 |
안전지킴이, 순찰로봇 (0) | 2022.04.28 |
식량위기, 스마트 농업으로 스마트하게 해결! (0) | 2022.04.26 |
공공데이터 포털(Open Data Potal)을 아시나요? (0) | 2022.04.25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