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구엘 슈벨리에(1959~)는 디지털 예술의 선구자이자 프랑스의 대표적인 미디어아트 작가로 파리를 기반으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1978년부터 시각 예술 분야에서 컴퓨터를 활용한 것을 시작으로 지난 40년간 미지의 자연환경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력을 제시해왔으며, 2D와 3D 기술을 사용하여 유기적이고 추상적인 움직임을 작품에 구현해왔다.
'주한 프랑스 대사관 미구엘 슈발리에〈디지털 뷰티〉소개글 中'
서울 종로구 인사동 아라아트센터에서 열리는 <디지털 뷰티>는 서울에서 처음 열리는 미구엘 슈벨리에의 첫 개인전이다. 총 5층 규모(지하 4층~지상 1층)의 아라아트센터에 적절히 배치된 그의 작품은 총 70점으로 상당한 규모의 전시임을 보여준다. 특히나 4점은 이번 개인전으로 처음 선보이는 신작들이다. 신작 4점 중 하나이자 14개의 설치작품 중 하나인 <어트랙터 댄스>는 팔이 5개인 드로잉 로봇으로 아티스트 패트릭 트레셋과의 콜라보레이션으로 탄생하였다. 또, 컴퓨터 과학자이자 동료 아티스트인 클로드 미켈리가 전시 전반에 걸쳐 사운드를 담당하여 전시 공간을 더욱 깊이 있게 만들어 주었다.
전시장에 들어서면 가장 먼저 관객을 맞이하는 작품인 ‘그물망 복합체’은 제너러티브 인터랙티브 VR 설치작품이다. 3차원 그래픽과 기하학적 모델링으로 만들어진 다각형 그물망으로 다양하고 복잡한 모양을 만들어내면서 관객들의 움직임에 따라 모양이 갈라지는 상호작용을 보여준다. 가상현실(VR) 기술과 제너러티브 아트(Generative Art)를 결합한 인터랙티브 작품으로 사용자의 참여와 상호작용을 통해 계속 변화하고 발전하는 창조적인 환경을 제공한다.
이 작품의 기술적 요소는 크게 가상현실과 제너러티브 디자인이라는 2가지 요소로 볼 수 있다. 전자의 가상현실 기술인 VR 트래킹 시스템 (Tracking System)으로 사용자의 움직임과 위치를 감지하여 가상 세계와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한다. 센서와 카메라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헤드, 손 또는 전신의 움직임을 추적하는 제너러티브 인터랙티브 VR 설치작품은 사용자의 동작과 위치에 따라 가상 세계가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특성 때문에 정확하고 반응성 있는 트래킹 시스템이 필요하다. 제너러티브 아트는 알고리즘과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활용하여 무작위성, 변동성 및 자기조직화와 같은 원칙에 기반한 창조적인 결과물을 생성한다. 이를 VR 환경에 적용하면 사용자가 작품 공간을 탐색하고 상호작용할 때마다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가상 세계를 경험할 수 있다.
무아레는 두 개 이상의 주기적인 패턴이 겹칠 때 만들어지는 물결 무늬를 지칭하는 단어이다. 슈발리에는 특히 두 네트워크 사이에서 발생하는 공간 간섭 현상인 무아레의 물결 무늬에 관심을 가졌다. 그는 직선과 물결치는 직선으로 구성된 60개의 다른 기하학적 흑백 또는 컬러 프레임을 만든 다음, 디지털 도구에서 서로 다른 프레임 간의 상호작용을 실험한다. 이를 위해 컴퓨터 과학자 클로드 미첼리와 함께 그래픽 프레임을 중첩하고 가벼운 움직임을 할 수 있는 특정 소프트웨어로 모션 효과를 가진 새로운 격자무늬를 구성할 수 있도록 개발했다.
디지털 무아레라는 작품에서 흥미로운 점은 음악과 인터랙티브한 작품이라는 점이다. 클로드 미켈리 음악의 주파수와 진폭은 디지털 무아레의 강도를 증가시키며 음악과 이미지의 상호작용을 보여준다.
디지털 무아레와 연결된 바닥에 위치한 <매직 카페트>는 빛으로 이루어진 대형 인터렉티브 카페트로 바닥에 투사된다. 관람객의 움직임에 반응하는 이 작품은 관람객들이 걸을 때마다 끊임없이 변화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 만들기 위해 정렬된 형태와 흐트러진 형태가 번갈아 가면서 표면을 생성한다. <매직 카페트>는‘트롱프뢰유’효과를 만들어 관람객의 인식을 교란하며 바닥이 움직이는 듯한 느낌을 선사한다.
매직 카페트에 사용된 기술적 요인은 크게 다음 3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대형 프로젝션 매핑 (Large-Scale Projection Mapping). 대형 프로젝션 매핑은 대형 프로젝터를 사용하여 바닥이나 벽과 같은 표면에 다양한 그래픽을 투영하는 기술이다. 이를 위해 컴퓨터 그래픽 및 프로젝션 매핑 기술을 사용하고 그래픽은 공간의 형태와 구조에 맞게 정확하게 투영되어 시각적인 효과를 형성한다. 두 번째, 인터랙티브 시스템 (Interactive System). 인터랙티브 시스템을 사용하여 관객과의 상호작용을 감지하고 이에 반응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의 동작, 위치 또는 음성 인식 등의 입력을 감지하여 가상의 그래픽이 변화하거나 움직이게 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작품과 상호작용하며 새로운 경험을 선사한다. 마지막 컴퓨터 그래픽 (Computer Graphics). "매직 카페트"에 사용된 그래픽은 컴퓨터 그래픽 기술을 통해 생성된다. 수천 개의 상징적 디지털 모티브(픽셀과 2진법 등)와 기하학적 패턴으로 구성된 여러 빛깔의 그래픽 장면을 프로젝터를 통해 실제 공간에 투영되어 작품을 형성한다.
미구엘 슈발리에의 <디지털 뷰티>는 디지털 및 가상 예술의 특징을 다양하게 경험할 수 있는 전시로서 독창적이고 매력적인 경험을 제공해주었다. 기자단이 직접 전시를 관람하면서 색다르게 느낀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작품과의 상호작용이 훌륭했다. <디지털 뷰티>는 관람객이 작품과 상호 작용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단순 터치스크린 방식을 넘어 운동 센서, 얼굴 인식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작품을 조작하거나 변형할 수 있는 경험이 전반적으로 경험할 수 있었다. 특히 제너러티브 아트를 활용해 스크린에 나타나는 기호들이 알고리즘을 통해 다양한 형태를 창조하는 부분에서 여타의 다른 미디어아트와의 차별성을 보여주었다고 생각한다.
두 번째는 표현의 다양성이다. 관람객은 작품 과정에 참여하거나 탐색하면서 다양한 표현의 다채로움을 경험할 수 있다. 관람객의 참여를 통해 얻게 된 데이터(관람객의 위치, 속도, 방향 등)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작품을 업데이트하여 작품을 새로운 표현을 생성한다. 단적인 예로 매직 카페트 작품을 들 수 있다. 본 작품을 체험해보면 발아래 패턴들이 중복되지 않고 끊임없이 새로운 패턴으로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기자단 본 작품을 체험하면서 느낀 의문점은 방대한 수준의 디지털 패턴을 처음부터 제작해서 넣은 것인가 아니면 어떠한 프로그램을 통해 패턴을 업데이트하는 것이냐는 것이었다. 결론은 후자처럼 관람객의 데이터를 축적하고 활용하여 새로운 무언가를 계속해서 만들어가는 것이었다. 관람객들의 다양한 움직임이라는 데이터의 축적과 상호작용이 작품에 반영되고 작품은 다양한 형태와 패턴을 생성하여 관람객들은 계속해서 새로운 작품을 경험하는 무한한 표현의 다양성을 맞이하게 된다. 그래서 매직 카페트라는 작품은 아래 그림2처럼 여러 도시(방콕, 스페인, 모로코)를 돌아다니며 업데이트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출처]
- 미구엘 슈발리에 디지털 뷰티 도록, 2023
- 주한 프랑스 대사관 '미구엘 슈발리에 디지털 뷰티 소개글' , https://kr.ambafrance-culture.org/ko
- 아쿠아플래닛, https://www.aquaplanet.co.kr/jeju/kor/miguel_jeju/index.html#blog-
- 위키피디아 '미구엘 슈발리에',
https://ko.wikipedia.org/wiki/%EB%AF%B8%EA%B5%AC%EC%97%98_%EC%8A%88%EB%B0%9C%EB%A6%AC%EC%97%90
- 위키피디아 '무아레' , https://ko.wikipedia.org/wiki/%EB%AC%B4%EC%95%84%EB%A0%88
- 미구엘 슈발리에에 공식 웹사이트 , Miguel Chevalier (miguel-chevalier.com)
AI 비서가 사람보다 유능하다고? AI 비서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해보자 (0) | 2023.05.30 |
---|---|
꺼져가는 메타버스 열기, 이대로 무너질 것인가? (0) | 2023.05.30 |
'메타버스 도서관'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5.30 |
스마트한 미래 농업기술, 메트로팜 (0) | 2023.05.26 |
메타버스 플랫폼 소개하기 (0) | 2023.05.26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