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ICT 기반 상수도 관리로 '스마트'한 물 관리

디지털콘텐츠/이슈리포트

by 디지털콘텐츠기업 성장지원센터 2020. 8. 5. 19:16

본문

< 출처 : "ICT 기술 접목으로 효과적인 도시 물관리 가능!", <공학저널>, 2020.03.11. >

 

4차 산업혁명의 영향으로 사회 모든 분야가 데이터에 집중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한국판 뉴딜정책에 힘입어 정부, 공공기관을 비롯한 민간 기업까지 디지털 전환에 가속도를 내고 있다. 물 관리 분야에서도 디지털화는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데이터를 활용한 정확한 분석과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적 물 관리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스마트 물 관리란

똑똑하고 지적으로 보이는 사람에게 우리는 스마트(smart)’하다는 수식어를 붙여주곤 한다. ‘스마트 물관리란 똑똑한 물관리라고 할 수 있겠다. 정보통신 분야에서는 조금 더 전문적으로 기존의 수준을 넘어선 정보 처리 능력을 갖고 있는 무언가를 표현할 때, 나아가 지능을 가진 무언가라는 의미를 부여할 때 스마트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전문적으로 본다면 스마트 물관리란 기존에 우리가 알고 있었던 물관리 관련 기술과 정보 처리 수준을 넘어선 새로운 수준의 물관리라고 할 수 있다.

 

한국수자원공사는 물 관리 전 분야에 걸쳐 정보통신기술(ICT)을 적용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수자원, 수도, 가뭄, 홍수 등 각종 물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분석하는 시스템을 구축해 시설 운영의 효율화를 꾀하고, 물 재해 대응 능력을 향상시켰다.

최근에는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접목해 혁신적인 물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온 힘을 다하고 있다. 모든 댐과 정수장에 안전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인공 지능 정수장을 조성하는 것이 그 일환이다. 물을 관리하기 위해 ICT기술을 활용함으로써 진정한 의미의 스마트 물관리가 가능하게 되었다.

 

스마트가 바꾸고 있는 물관리

1) 스마트 디바이스, 스마트 솔루션, 스마트 서비스

스마트 물관리의 핵심요소로 꼽히는 최신 스마트 디바이스(smart device), 스마트 솔루션(smart solution), 스마트 서비스(smart service)들은 점진적으로 물관리 기법들을 변화시키고 있다.

 

< 출처 : "물관리에 지능을 부여하다 스마트 물관리", <서울물연구원>, https://arisu.seoul.go.kr/arisu_center/center16/seoulWater/201907/html/sub1.html, 2019.07. >

 

스마트 디바이스의 대표적인 예로는 스마트 미터, 상수도관로 진단 로봇 등을 들 수 있다. 스마트 미터는 자동으로 물 사용량 체크가 가능하며 공동 주택의 경우 전 가구의 물 사용량을 비교 분석해 누수 탐지까지 할 수 있다. 스마트 미터가 보급되기 시작함으로써 자동으로 매시간 물 사용량 체크가 가능해짐에 따라, 매달 검침원이 모든 집을 방문하여 물 사용량을 검침하던 것이 점차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며, 야간최소유량 사용 시간대에 별도의 시험 없이 옥내 누수를 탐지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상수도관로 진단 로봇은 기존에 산소탱크를 메고 직접 사람이 상수도관 안에 들어가서 관을 진단하던 일이나 사람이 들어갈 수 없어 진단을 포기했던 것을 해소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선진 외국의 물 기업들은 앞 다투어 스마트 솔루션이 탑재된 상수도 최적 운영관리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스마트 솔루션을 통해 기존 관리자의 경험에 의존하던 운영방법의 한계를 넘어서 최적화된 답을 갖고 상수도시스템을 운영하고 관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언젠가부터 길거리에 우리 동네 수돗물 수질을 알려주는 전광판이 보이기 시작했다. 안심하고 수돗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준 전광판은 앞서 이야기한 스마트 디바이스와 스마트 솔루션이 종합된 스마트 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호주에서는 물 사용량을 조회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절수 효과를 얻는 스마트 서비스도 활용되고 있다고 한다.

 

아리수맵 < 출처 : "물관리에 지능을 부여하다 스마트 물관리", <서울물연구원>, https://arisu.seoul.go.kr/arisu_center/center16/seoulWater/201907/html/sub1.html, 2019.07. >

 

서울시에서는 아리수맵이라는 스마트 서비스를 실시 중이다. 아리수맵은 아리수(서울시 수돗물)에 대한 종합적 정보를 지도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수돗물 정보 지도이다. 월 정기 수도꼭지 수질, 아리수 공급경로, 공원음수대 위치와 분기별 수질검사 결과, 우리동네 상수도 공사 정보, 1시간 마다 갱신되는 실시간 수질정보가 제공된다.

 

2) 인공지능 정수장

 

< 출처 : "광역상수도 스마트관리 시스템 도입", <환경일보>, 2020.06.12. >

 

2030년까지 수자원공사가 관리하는 전국의 모든 정수장은 '인공지능 정수장'으로 만들어 실시간으로 수질을 진단하고 예방 및 정비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게 된다. 이런 시스템이 갖춰지면 그동안 제공되지 않았던 정수장, 수로 등을 지나가는 물과 관련한 정보까지 실시간으로 국민 누구나 확인할 수 있어 더 많은 국민들이 안심하고 수돗물을 마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T 기술을 활용한 물 복지

한국수자원공사는 IT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상수도 운영관리 체계 구축과 데이터 기반 취약계층 사회안전망 확충 등 국민 물 복지를 확대 중이다특히, 사물인터넷과 스마트 수도미터를 활용하여 사회적 약자의 수도 수용량과 사용패턴, 이동통신 통화이력 및 데이터사용량을 빅데이터로 분석해 장시간 수돗물 사용이 없을 경우 위기상황으로 판단, 사회복지기관에 알리는 '취약계층 위기 알림 서비스'로 국민 물복지 서비스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스마트 물 관리가 나아갈 방향

최상의 물 관리는 얼마나 정확하고 신속하게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해 적용하느냐에 달려 있다. 그러나 현재 상수도는 국가중요시설로 구분되어 있어 데이터 접근 및 수집이 제한되어 있다. 제한된 데이터만으로는 국가 전체의 통합적 물 관리와 물 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적 합의 도출에 한계가 있기 마련이다. , 분산되어 있는 국가 물 관련 시스템의 연계를 통해 빅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공동으로 유통·활용할 수 있는 물 관리 통합 정보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해야 한다. 국민 누구나 필요에 따라 정보를 선택해 사용할 수 있게 된다면, 과거에 비해 더욱 정확하고 신속하게 가치 있는 정보를 얻는 정보화 사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막대한 국고를 투입하여 스마트 디바이스를 설치해 연구개발사업으로 개발된 스마트 솔루션이 있다고 하더라도 스마트 서비스를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는 전문인력이 없다면, 스마트 물관리는 제 기능을 완전히 발휘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관련 인력의 확보를 위해 스마트 물관리 교육과정이 확대될 필요가 있지만, 지속 가능한 물 환경을 위해 물을 이용만 하던 회색인프라에서 효율적으로 물을 관리하는 린인프라로 재편하는 노력에 대한 결과는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끝으로 4차 산업혁명은 물 관리에 지능을 부여하여 스마트 물 관리라는 나무를 심을 수 있게 해주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이 나무가 잘 자라 무성한 열매를 맺기 위해서는 우리 모두의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할 것이다.

 

[출처]

- “광역상수도 스마트관리 시스템 도입”, <환경일보>, 2020.06.12.

- 물관리 뉴노멀 시대, 물관리 디지털화(Water Digitalization) 필수, <에너지데일리>, 2020.007.23.

- 수자원공사-SKT, ICTIoT 활용한 `스마트 상수도 등 물복지 확대` 업무협약, <디지털타임스>, 2020.07.16.

- “포스트코로나 해법 그린 뉴딜의 핵심은 스마트 물관리, <서울신문>, 2020.06.30.

- “ICT 기술 접목으로 효과적인 도시 물관리 가능!”, <공학저널>, 2020.03.11.

- [세상속으로] 디지털화와 빅데이터, 그리고 스마트 통합물관리, <헤럴드경제>, 2020.07.28.

- [오늘Who] 박재현, 수자원공사 물관리에 그린과 디지털뉴딜 다 접목, <비즈니스포스트>, 2020.07.15.

- 서울물연구원, https://arisu.seoul.go.kr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